환경모니터링과 평가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대상지의 환경 상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더 나은 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선결조건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모니터링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다 높은 시공간적 스케일에서 양질의 환경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환경분야에서 서로 다른 목적과 강도로 수집된 자료들 또한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융합, 분석됨으로써 환경평가에 활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생태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적, 비생물적 인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론과 기술들을 소개하고, 워크숍을 통해 그 효용성과 한계를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를 통해 수강자들은 환경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인 환경평가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Scientific and accurat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site is a prerequisite for better environmental planning.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nvironmental monitoring technologies, it has become possible to acquire high-quality environmental data in more efficient way and in a higher spatial-temporal scale. It is also expected that data collected in different environmental fields with different purposes and intensities will be used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through big data technology. This course will introduce monitoring methodologies and techniques for various biological and abiotic factors in ecological environment, and discuss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m through workshops. Though this course, we will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data, and based on this, we will demonstrate better environmental assessment ways.
생물다양성과 환경계획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Planning)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strategy of ecosystems and the local biodiversity. Practices as well as the theories for a series of ecological planning will be provided, from the field survey for the selected items of local flora and fauna, data analysis, to the assessment and adaptive management process of the study site. Based on these experiences, students are expected to build their own ecological survey and management plans for better conservation of the landscape.
환경생태계획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본 수업에서는 환경생태계획의 다양한 지향점 중 하나인 ‘생물다양성(biodiversity) 보전’에 초점을 맞추어, 생물친화적인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생물다양성 위기는 기후변화와 함께 환경문제의 양대 시류를 이루며, 따라서 이에 대한 (공간적)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은 환경계획가의 책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4년 10월 강원도 평창에서 제12차 UN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2)가 열리는 등 생물다양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현명한 토지이용은 다양한 야생생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고유의 생물상 보전에 기여하고, 주변 녹지들과의 연계를 통해 생태계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자연 체험 및 교육장소로 활용되기도 하면서 지역사회에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생명친화적인’ 공간조성을 위한 계획이란 어떠한 것일까? 기존의 도시녹지를 지역 생물다양성을 위한 ‘양질의’ 공간으로 재자연화 (re-naturing) 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계획안을 제시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수업에서는 관련 이론의 검토에서부터 실질적인 환경조성방안 및 유지관리체계 수립, 평가틀 구상에 이르는 다각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balance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by exploring diverse topics i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The course introduces a range of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urban ecosystem resilienc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storation, healthy environments, and natural hazard protection.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students with insight into the sustainability and rationality of spatial planning that responds to climate change and rapid urbanization.
Advanced Study in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Methodologies (환경정보수집기법연구)
This course aims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remote sensing(R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methodologies in the application to the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studies. The key theories of RS/GIS will be highlighted with the practices for using a variety of spatial data sources such as aerial photo, satellite image(Landsat, MODIS), and public GIS dataset from the government. Students should bring their own research topic related with RS/GIS and summarize as two final outputs; 1) in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2) research proposal based on the primarily results of the term project proceeded through this course. Note that this course may require the additional self-study for the very beginner on RS/GIS, and may be too easy for the professionals. To confirm these conditions, it is recommended to contact with Prof. Song before joining this course.
본 수업에서는 지역의 환경을 보다 객관적,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공간정보의 수집, 분석, 활용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공간정보처리의 기초 플랫폼이 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상에서의 분석방법 개발과, 다양한 시공간 스케일에서의 원격탐사(RS) 자료 응용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을 진행한다. 다양한 생태계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RS/GIS 분석 사례 리뷰를 통해 기 구축 환경자료 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간의 융합 가능성을 모색한다.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타당하고 합리적인 정보수집계획 수립이다. 수강생들은 자신의 연구 혹은 자신의 관심분야와 밀접한 연구의 주체적인 발제를 통해 논의에 참여하게 된다.
생태계 관리론 (Ecosystem Management)
과목 소개 : 환경의 시대를 맞아 우리 사회는 생태(학)적인 시점과 접근방법이 모든 환경문제 해결에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으고 있다. 도시·지역·조경 계획가들 역시 대지와 현상에 대한 생태적인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해 경관생태학, 보전생태학, 환경생태·계획학 등 생태학에 뿌리를 둔 다양한 응용분야가 제시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분야의 유용성을 논하기 이전에 생태적 이론의 적용은 순수생태학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함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수업에서는 생태학의 가장 기본적인 질문, 즉 어디에 얼마나 많은 생물들이 있고 왜 거기에 있는가와 같은 생물의 분포와 풍부도에 대해, 나아가 이것을 결정짓는 생물적 · 비생물적 상호작용과 환경요소에 대해, 생태학이 제시하는 이해의 틀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 본 수업은 (석)박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기존의 일방적 지식 전달의 강의형식이 아니라, 관심 주제에 대한 자학자습(自學自習)과 문제의식의 공유를 수업의 기조로 삼는다. 제시된 주요 참고문헌의 관심 토픽을 사전에 숙독, 정리하여 수업시간에 공유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문제의식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과제로 완결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This course aims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ecological planning theories and share the planning ideas based on the key theories of ‘ecology’. Students are required to introduce a selected chapter of recommended textbooks about ecology, landscape ecology or conservation biology, and lead the discussion on the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their own study topics. These self-studying and co-teaching trainings will be supported by professors and invited professionals.